2024.01.21 - [임베디드] - Raspberry Pi 4 Model B OS 설치
OS 설치하며 한 상세 설정은 위 글과 같다.
Raspberry 4 B SSH 접속 방법
모니터 남는게 있다면 HDMI를 이용해 GUI로 이용할 수있다. 키보드 마우스도 usb 포트가 있으니 연결서 쓰면 진짜 PC 쓰는 느낌도 나는데 사용 목적에 따라 CLI로만 사용할 수도있기 때문에 이때는 ssh로만 사용해도 충분하다.
OS 설치 과정에서 ssh를 사용한다고 설정했다는 가정하에 진행한다. 그리고 다른 블로그들과는 다르게 putty나 ip 주소확인을 위해 라우터 관리자에 들어가는 등의 작업없이 nmap을 이용하여 접속해보겠다.
ssh로 접속하기 위해 알아야하는건 바로 ip 주소이다. 이때 사용할 수있는 network 툴이 nmap인데, Ubuntu 같은 운영체제에서는 apt로 nmap 설치가 가능하다. (해킹에서도 이용한다는데 취약점 분석쪽으로 써본적은 없어서 참고용으로 프록시를 이용하는 Burp Suite 같은 해킹 툴도 있다는 것 정도는 언급하고 간다.)
Windosw에서는 nmap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다.
Nmap: the Network Mapper - Free Security Scanner
Download Reference Guide Book Docs Zenmap GUI In the Movies Get Nmap 7.94 here Nmap.org has been redesigned! Our new mobile-friendly layout is also on Npcap.com, Seclists.org, Insecure.org, and Sectools.org. Nmap 7.90 has been released with Npcap 1.00 alon
nmap.org
설치하면 아래 처럼 뜨는데 일단 nmap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에 알아야할게 있다.
우선적으로 알아야할게 라즈베리파이 보드가 같은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 있느냐이다. 같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가 또는 그냥 단순하게 같은 와이파이를 사용하는가 뭐 이정도면 될 듯하다. ( 로컬 영역 네트워크 를 의미)
Windows를 기준으로 ipconfig를 입력하여 wifi ip를 확인해보자.
서브넷 마스크와 ipv4 주소를 기억하자. 나는 nmap -sn 192.168.45.0/24 이렇게 입력가능하다. (사실 처음에 nmap -sP 192.168.45.0/24로 입력했는데 자기가 변환시킴) 서브넷 마스크에 대해 어느정도 안다고 가정하고 진행한다.
이렇게 쭉 같은 사설 네트워크안에 있는 모든 기기들을 ip들을 스캔해줬다. 참고로 지금 raspberry pi 보드는 켜지 않았다.
이번엔 보드에 전원을 꼿고 다시 한번 스캔해보겠다.
만약 OS를 설치한지 얼마 안되었다면 전원 연결 직후 바로 켜지는 것이 아니고 입력된 설정이 진행되므로, 최초 부팅 시 약 3~5분가량이 소요될 수 있으니 바로 스캔 때려봐야 안 뜰수도 있다. 아까와는 다르게 하나 더 ip가 추가적으로 잡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새 누가 새로 와이파이 접속했는지 ip 2개가 추가적으로 검색되었다. 아놔)
이제 ssh 접속을 해보자.
연결 성공 참고로 2.4G 와이파이로 진행했다. 5G 와이파이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의 대부분은 국가 설정 문제인거로 보인다.
앞의 OS 설치 과정글에도 있는 내용인데 OS 설치 후 바로 5G wifi가 연결 안되었던 이유와 해결 방법을 아는 사람이 있다면 알려주면 사례하겠다.
2024.01.21 - [임베디드] - Raspberry Pi 4 Model B OS 설치에 있는 내용인데
라즈베리파이 4 B 자체는 5G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한데 다른 글들 보고 Raspberry Pi Imager에서 OS 설치할 때 고급설정의 로케일 설정 지정에서 시간대를 US/Central, 키보드 레이아웃을 us 로 설정하고 했었는데도 인식 못하는 걸 보면 사실 어떤게 문제인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실수가 있었을지 모르겠지만 어쨋든 안 되었다.)
이번에 글 쓰면서 os 설치 단계에서 5G 와이파이 연결 안되는 문제를 해결해보기 위해 참고한 글들은 아래와 같다. 결국 시간대 문제 같은데 3,4번째 링크를 보면 우리나라 공유기 칩셋 문제도 있다고 하는데 글이 2021년이고 글 흐름상 지금쯤이면 패치가 되었을 것 같아서 아마 와이파이 연결 나라를 US같은 나라로 다시 설정해야하는게 맞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OS 설치할때 시간대를 ASIA/Seoul로 했는데 잘 되는거 보면 시간대 말고 wifi만 따로 지역을 다시 설정해야하는건가 싶기도 하고
https://forums.raspberrypi.com/viewtopic.php?t=321219
https://forums.raspberrypi.com/viewtopic.php?t=268222
https://chick-it.tistory.com/13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 Pi 4 Model B OS 설치 (1) | 2024.0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