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 4
Buy a Raspberry Pi 4 Model B – Raspberry Pi
Your tiny, dual-display, desktop computer …and robot brains, smart home hub, media centre, networked AI core, factory controller, and much more.
www.raspberrypi.com
Raspberry Pi 4 B를 이용하였고 Raspberry Pi CM4와 다르게 자체적으로 USB, 랜선연결 포트 등이 자체 내장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지만 저장장치가 따로 내장되어 있지 않아서 처음 운영체제(Linux나 Windows 같은)를 설치하고 사용하기 위해선 SD카드가 필요하다. USB로 하면 좋긴 한데 처음 시작하기 위해선 SD카드가 있어야 한다 ㅠ
보통 P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결국 라즈베리파이 보드도 (이 외 보드들, 스마트폰들도) 별로 다르지 않다.
PC 외에도 안드로이드, 애플의 ios들도 모바일 운영체제라고 부르는데 모든 스마트폰이 이런 운영체제를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우리의 품으로 오기 때문에 잘 인지하지 못할 뿐이다.
결국 USB를 인식하거나 인터넷 이용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런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USB들을 꽂는 곳 반대편에 SD카드를 꽂는 슬롯이 있다. 사진에는 표시가 안되어있다.
SD카드에 OS 설치
나는 노트북으로 진행하며 노트북 자체에 SD카드를 꽂아 진행하기에 따로 SD카드 리더기 같은 건 구매하지 않았다.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From industries large and small, to the kitchen table tinkerer, to the classroom coder, we make comput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everybody.
www.raspberrypi.com
라즈베리파이의 장점이 OS(운영체제) 설치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Imager )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각자의 운영체제에 맞는 Imager를 받으면 된다.
설치하고 나서 실행하면 선택하는 게 나오는데 빠르게 선택해 보면 다음과 같이 선택가능하다.
나는 라즈베리파이 4 B이기에 디바이스는 RASPBERRY PI 4를 선택했고 운영체제는 Ubuntu 등 다른 것들도 제공하지만 라즈비안이라는 것을 선택했다. (Imager는 보통 라즈비안을 recommend 함) 만약 특정 운영체제를 필요로 한다면 그걸 선택하면 된다.
저장소는 SD카드를 선택하면 된다. 참고로 SD카드 안에 내용이 있다면 모두 삭제되니 OS 설치용으로 깨끗한 거 하나 사용해야 한다.
다음을 누르고 설정을 편집하기를 눌러 꼭 편집을 하고 가길 바란다. 와이파이나 ssh를 사용할 거라면 더더욱이다.
나는 위와 같이 설정했다. 근데 들어가니까 어느 정도 지가 알아서 설정해 놨다🤔🤔 노트북에 연결된 와이파이랑 해당 비번까지 자동으로 입력해 놓고;; 예전에 해당 노트북으로 설치한 적이 있었던가?? (와이파이 비번 까먹었을 때는 참고로 해당 와이파이를 연결해 둔 PC에서는 비번 알 수 있음. cmd 명령어로 찾을 수 있다.
→ Netsh wlan show profile name="연결된 와이파이 이름" key=clear)
아 참고로 5G 와이파이가 아니라 2.4G 와이파이인게 편하다. 이거 때문에 예전에 와이파이 연결을 못해서 헤맸었던 기억이 있다. (5G 와이파이에 연결이 안되어 ssh 접속을 못하는 상황이었다.)
라즈베리파이 4 B 자체는 5G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한데 다른 글들 보고 위의 로케일 설정 지정에서 시간대를 US/Central, 키보드 레이아웃을 us 로 설정하고 했었는데도 인식 못하는 걸 보면 사실 어떤게 문제인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https://coding-yoon.tistory.com/211
이번에 글 쓰면서 os 설치 단계에서 5G 와이파이 연결 안되는 문제를 해결해보기 위해 참고한 글들은 아래와 같다.
https://forums.raspberrypi.com/viewtopic.php?t=321219
https://forums.raspberrypi.com/viewtopic.php?t=268222
https://chick-it.tistory.com/13
https://www.youtube.com/watch?v=5-uToi9BRBE
ssh 설정은 써본 사람들은 공개 키만 인증 허용이 뭔지 알 테니 넘어간다. 로그인 편하자고 하는 건데 단점이 공개 키 파일이 있는 pc환경에서만 접속가능하다.
이러고 진행하면 SD카드에 운영체제가 설정에 맞춰 설치된다.
ssh 접속 관련 정보는 인터넷에 매우 많고 그렇게 어렵진 않은데 다른 글들이랑은 조금 색다르게 nmap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한 번 올려볼까 싶다.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4 SSH 접속 방법(내가 보려고 쓴) (1) | 2024.0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