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학 4

[암호학] 해시함수 Hash Function

Hash Function은 우리말로 해시함수 또는 해쉬함수라고도 하는데 저는 해시함수라고 부르겠습니다. (암호학 수업시절 "해쉬가 아니라 해시라고!" 라는 말이 머리에 박혀있어서 저도 이제는 해시가 아니면 거슬리긴 합니다ㅎㅎ) 해시함수는 임의의 입력값에 대해 고정된 길이의 값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해시함수를 왜 사용하는지는 아래에서 다루겠습니다.) 예를 들어, MD5(Messsage Digest Algorithm 5)라는 해시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 128비트(16바이트)의 고정된 길이의 해시 값을 생성합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같은 입력값에 대해 같은 출력값을 생성합니다 저는 아래 온라인 사이트에서 MD5로 해시 값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싱방법은 맨 아래에서 다루..

암호학 강의 2023.11.09

[암호학] 국산 블록 암호 LEA

LEA(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는 이름 그대로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고속 환경 및 모바일기기 등 경량 환경에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대한민국에서 개발한 128비트 블록암호 알고리즘입니다. 또한 2019년 ISO/IEC의 경량 블록 암호 분야 표준(ISO/IEC 29192-2:2019)으로 제정되었습니다. 국산 블록 암호 알고리즘에는 대표적으로 SEED, ARIA, LEA 등이 있습니다. 2021년에는 국내 여러 연구진들이 모여 만든 PIPO(Plug In, Plug Out)라는 블록 암호도 있습니다. 부채널 공격에도 대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며 경량 암호 알고리즘입니다. PIPO에 대해 흥미 있으신 분들은 한번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PIPO 논문, SW코드 더..

암호학 강의 2023.11.02

[암호학] 암호란 무엇인가요?

암호(암호학)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암호학 하면 다들 어려운(특히 수포자에게)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알게 모르게 가장 친숙하게 우리의 삶에 녹아있는 것이 바로 암호입니다. 저는 처음 공부할 때 ID와 Password가 가장 먼저 떠올랐습니다. Password(비밀번호)를 모르는 한 어떠한 사람도 로그인이 불가능합니다. 즉,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는 사람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변에서 "내 게임 계정이 털렸어" 라던가 "누가 내 계정으로 쇼핑을 했어" 와 같은 일을 뉴스 기사 등을 통해 접해본 경험이 다들 있으실 겁니다. Password(비밀번호)를 모르는 공격자 입장에서 로그인을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무차별 대입공..

암호학 강의 2023.10.19

[암호학] OT

암호학 강의 계기 최근 1년간 여러 보안 분야에서 활동하는 학생들을 만나볼 기회가 많았습니다. 이런 경험을 하며 느낀 것은 생각보다 암호학에 대해 흥미를 느끼는 학생들이 많다. 하지만, 암호학에 대해 배울 기회가 많이 없다. 암호 전문 인력이 다른 분야에 비해 적다. 이런 이유로 부족하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 취미로 글을 적습니다. ✌️ FAQ Q: 암호학을 시작하려면 어떤 지식이 필요한가요? A: 정수론, 대수학 등 수학지식이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Q: 그럼 암호분야로 가려면 수학부터 공부해야 하나요? A: 암호에도 연구분야가 다양합니다. 대학원생 중에도 학부에서 수학을 전공하지 않으신 분들이 계시며 세부 분야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Q: 그럼 수학은 어디에 쓰이나요? A: 매우 오래..

암호학 강의 2023.10.17